안녕하세요, 오늘은 스웨덴 전통 디저트인 셈라에 대해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.
제가 살고 있는 스웨덴에서는 1월에서 2월 사이에 셈라라는 디저트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.
이것은 유럽의 기독교 문화와 관련되어 있는데요,
기독교인들은 경건한 마음으로 부활절을 준비하며 예수님을 기리는 사순절을 앞두고 참회의 화요일을 갖습니다.
참회의 화요일은 영국에서는 팬케이크 데이라고도 불리며 스웨덴에서는 Fettisdagen, 즉 살찌는 화요일이라고 합니다.
살찌는 화요일의 다음날인 재의 수요일부터 단식이 시작되기 때문에 그 전날에 버터와 크림을 잔뜩 얹은 기름진 디저트를 먹습니다.
한국에 널리 알려진 팬케이크 데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영국이나 아일랜드 등 영미권 국가에서는 팬케이크를 먹으며,
셈라는 주로 노르웨이, 핀란드, 덴마크, 스웨덴, 에스토니아 등 북유럽 등지에서 즐겨 먹습니다.
오늘날에는 더 이상 종교적인 전유물이 아니며 살찌는 화요일과 부활절 사이에 흔히 먹을 수 있는 디저트가 되었습니다.
위 사진과 같은 형태의 셈라는 현대에 와서 만들어졌는데요,
국가마다 셈라의 형태는 조금씩 다르고, 각 베이커리나 카페마다 고유의 레시피를 가지고 있습니다.
따라서 조금씩 다른 셈라를 맛보며 비교해 보는 것도 이 문화를 즐기는 하나의 방법입니다.
매우 고열량이기 때문에 건강에는 그리 좋지 않겠지만요.
오늘날 스웨덴에서 먹는 셈라는 기본적으로 카다멈 번 위에 만델마사라고 하는 아몬드페이스트와 휘핑크림을 얹고,
그 위에 슈가파우더를 뿌린 뚜껑 형태의 번을 덮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.
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크림의 느끼하고 풍부한 맛과 아몬드페이스트의 달콤한 맛이 나며,
카다멈 향이 나는 빵과 독특한 조화를 이룹니다.
셈라를 먹는 방식은 개인마다 다르지만,
스웨덴의 디저트 타임인 fika를 즐기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.
단독으로 먹기보다는 커피나 차를 곁들일 때,
그리고 혼자 먹는 것보다는 함께 먹는 것이 셈라의 느끼함을 덜어줄 수 있고, 스웨덴의 디저트 문화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Fika는 스웨덴인들에게 중요한 의식과도 같아서
일하는 도중에 동료나 친구들과 커피와 차, 그리고 먹을 것을 곁들이며 휴식시간을 가집니다.
한국에서는 1월에서 3월 사이에 이케아에 가면 셈라를 맛보실 수 있고,
노르딕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인 아르켓에서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.
한국에서 북유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만큼 북유럽의 식문화를 통해 그들과 조금 더 친숙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봅니다.